2025/07/08 2

국가 간 계약서에도 국제법이 작용될까?

한 해외 투자자가 개발도상국 정부와 체결한 계약서를 읽고 있었다.문서 안에는 건설 기간, 투자 금액, 분쟁 발생 시 절차 등이 포함돼 있었고 맨 끝에는 작은 글씨로 중재기관과 준거법에 대한 문장이 들어 있었다.몇 년 뒤, 정권이 바뀌면서 프로젝트가 중단되었다.정부는 자국의 경제 위기를 이유로 계약 종료를 통보했고 투자자는 약속된 조항에 따라 국제중재를 요청했다.그 중재 과정에서 쟁점이 된 건 계약 조항보다 그 문서가 어떤 ‘법의 틀’ 안에 있었는지였다.표현은 행정 계약 같았지만 실제로는 국가가 외부 규범에 참여했다는 점에서 다른 해석이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왔다.이 사례는 국가가 체결한 계약이 국내 행정 처리로 끝나지 않고 국제 분쟁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줬다. 국가가 서명한 계약이라 해도, 모..

국제법 15:52:05

국제법을 처음 배우는 사람이 가장 헷갈리는 개념 3가지

처음 국제법을 공부한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단어는 어렵지 않은데 도대체 무슨 얘기인지를 모르겠다”는 말을 한다.영어로 된 판례나 조약을 보는 것도 물론 부담이 되지만 그보다 더 혼란스러운 건 ‘비슷해 보이지만 전혀 다른 개념’들이 한 문장 안에 섞여 있을 때다.예를 들어 어떤 문장은 조약이라고 했고 다른 문장에는 협정이라고 나왔다.국가 간 합의인데 왜 용어가 다르고 어떤 건 법적 구속력이 있다고 하고 어떤 건 선언적 의미에 가깝다고 한다.처음 배우는 입장에선 표현은 분명한데 그 경계가 흐릿한 지점들이 문제다.교과서에 나온 설명보다 실제 사례에서 무엇이 법이고 무엇이 정책인지 헷갈리는 지점들이 있다.이번 글에서는 실제 초심자들이 자주 혼동하는 세 가지 국제법 개념을 꺼내 ‘왜 헷갈리는지’와 ‘실제로는 어떻..

국제법 07:4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