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와 이슈

8월 1일, 한미 관세 폭탄 터지나? 협상 결렬 배경과 기업이 준비해야 할 3가지

반응형

2025년 7월 25일, 한국 경제와 글로벌 수출업계를 긴장시킬 뉴스가 전해졌습니다.
예정되어 있던 한미 ‘2+2 고위급 통상 협의’가 전격 취소된 것입니다.
미국 측의 일방적인 일정 통보로 인해 한국 대표단은 출국 직전 취소 통보를 받고 발길을 돌려야 했고

이제 8월 1일 발효 예정인 25% 상호 고율 관세를 막을 협상 기회는 사실상 사라졌습니다.

이 글에서는 협상 결렬의 배경, 산업계와 쇼핑몰 셀러가 받을 영향 그리고 지금 당장 준비해야 할 체크포인트를 분석해 드립니다.

 

 

한미관세 협상 난항

 

협상 취소, 왜? 미국은 트럼프 일정 따라 '골프' 우선

기획재정부는 25일로 예정됐던 한미 고위급 협상이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의 긴급한 일정으로 취소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은 출국 직전 공항에서 통보를 받고 귀가했으며 만약 베선트 장관이 트럼프 대통령의 스코틀랜드 방문에 동행한다면 상호관세 발효일인 8월 1일 전에는 한국과의 만남 자체가 어려울 상황입니다.

일본은 같은 날 미국과 관세 인하 합의(25% → 15%) 성공한 뉴스가 전해지며 한국만 ‘외교 소외’와 ‘통상 실패’ 논란에 직면하게 됐습니다.

 

트럼프는 "한국도 미국에 돈을 써야 협상 가능"이라는 메시지를 공개적으로 밝히며 일본, EU, 필리핀 등과는 실무 협상을 통한 실익 확보를 보여준 반면 한국은 실무→고위급 협의→전면 중단이라는 최악의 수순을 밟고 있습니다.

관세가 부과되면 어떻게 되나?

2025년 8월 1일부터 한미 양국 간 고율 관세 25%가 발효될 경우 다음 산업군은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영향 산업 타격 요소 관련 직군/셀러
자동차·부품 단가 경쟁력 약화 B2B 수출 제조사, 부품 셀러
반도체 수출량 감소, 경쟁사 우위 글로벌 전자기기 셀러
철강·소재 관세 부담 전가 건설·소재 중소기업
역직구 쇼핑몰 제품단가 인상 → 구매전환율 하락 Amazon, Shopify 셀러 등
 

특히 Amazon FBA 셀러나 미국 수출 셀러는 미국 내 창고를 활용한 재고 확보 전략이나 제조 거점을 베트남, 인도, 멕시코 등으로 다변화하는 접근이 필요합니다.

 

정부는 협상 재개 가능성 언급…그러나 시간은 없다

정부는 “산업부 장관 등 실무 채널은 유지되고 있다”고 밝혔지만 8월 1일까지 남은 시간은 단 이틀 정도뿐입니다.

게다가 미국은 중국과의 무역 협상(스웨덴 예정)에 집중할 예정이라 한국과의 협상 재개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분석이 우세합니다.

 

수익형 관점에서 지금 준비해야 할 3가지

1. 미국 수출 비즈니스 점검

  • HS CODE별 관세율 확인
  • 제조 원가 변동 리스크 대비
  • 물류사와 비상 대응 프로세스 구축

2. 원산지 다변화 전략

  • "Made in Korea" 대신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생산기지 확대 검토
  • 미국 내 라벨링 기준 및 우회 수출 규정 확인

3. 소비자 가격전략 리빌딩

  • 마진 구조 재점검
  • 프로모션보다 충성도 기반 CRM 강화
  • '가성비 상품' + '브랜드 신뢰' 투트랙 마케팅

한 줄 요약

8월 1일부터의 관세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금 준비하지 않으면, 수출 셀러와 제조사는 피해자가 될 수 있습니다.

 

수출하는 셀러와 제조사는 반드시 리스크 점검필요

트럼프는 ‘돈 내면 관세 깎아준다’는 방식의 무역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일본과의 협상 성공 사례를 보면, 철저한 준비와 전략이 없이는 대화 테이블에조차 오르지 못하는 현실입니다.

지금은 상황을 탓할 때가 아니라 공급망 재편, 관세 회피 설계, 마케팅 전략 수정을 통해 글로벌 비즈니스를 지키는 대비책 마련이 최우선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