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과 인테리어

인테리어 할 때 조적벽 vs 내력벽? 철거하면 안 되는 이유

반응형

아파트 인테리어를 계획할 때 많은 분들이 가장 먼저 떠올리는 건 “확장할 수 있을까?” “벽 철거가 가능할까?”입니다.
특히 주방이나 거실 벽을 허물어서 넓은 공간을 만들고 싶은 욕심, 한 번쯤 해보셨죠?

하지만 여기서 정말 조심해야 할 게 있습니다.
모든 벽이 다 허물 수 있는 건 아니라는 것, 알고 계셨나요?

바로 오늘 이야기할 조적벽과 내력벽의 차이가 그 이유입니다.
잘못 건드리면 안전사고는 물론, 구조 붕괴 위험까지 초래할 수 있어요.
심하면 건축법 위반으로 벌금까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아파트 인테리어 시 확인해야 할 내력벽과 조적벽의 차이점

 

내력벽이란? – 건물을 지탱하는 기둥 없는 '벽 구조'

아파트 구조는 크게 기둥식 구조벽식 구조로 나뉩니다.
특히 국내 아파트는 대부분 ‘벽식 구조’입니다.
쉽게 말해, 벽 자체가 기둥 역할을 하는 구조죠.

이때 집 안에 있는 특정 벽은 건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내력벽’이고 이 내력벽을 철거하면 건물 전체의 안전성이 무너질 수 있습니다.

 

내력벽 특징

  • 콘크리트 재질
  • 벽 두께가 두꺼움 (15cm 이상)
  • 집 구조 도면상 ‘H빔’ 표시나 중심부에 위치
  • 벽을 두드리면 ‘둔탁한 소리’

철거 금지! 구청 허가 없이 건드릴 수 없습니다.

 

조적벽이란? – 단순 공간 구분용 벽

반대로 조적벽은 공간을 나누기 위해 만든 ‘칸막이 벽’입니다.
건물 하중과는 무관해서 경우에 따라 철거가 가능합니다.

 

조적벽 특징

  • 벽돌이나 블럭을 쌓아 만든 구조
  • 비교적 얇고, 두드리면 ‘텅텅’ 소리
  • 세대 내부 벽체 일부에만 사용
  • 욕실/다용도실/드레스룸 쪽에 주로 분포

철거 가능! 하지만 배관·전선 매립 여부 확인 필요

 

내력벽 철거 시 어떤 문제가 생길까?

만약 구조를 잘 모르고 내력벽을 철거하게 되면 눈에 보이지 않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하중 분산 실패 → 층간 균열
    → 위층 바닥이 주저앉거나 아래층 천장에 금이 갈 수 있습니다.
  2. 지진/외력 시 구조 불안정
    → 아파트 전체의 내진 구조가 약화되어 작은 지진에도 흔들리거나 붕괴 가능성 증가
  3. 소음·차음 성능 하락
    → 철근 콘크리트 내력벽을 없애면 이웃 간 소음이 심해짐
  4. 법적 문제
    → 무단 철거 시 건축법 위반
    → 입주자대표회의·관리사무소 민원 및 보수 비용 청구 가능성

 

인테리어 시 철거 가능한 벽은 어떻게 판단할까?

전문 시공자나 구조기술사의 도움 없이 무작정 ‘이 벽 허물어도 돼요?’라고 판단하는 건 매우 위험합니다.

다음 체크리스트로만 간단히 참고하세요.

 

철거 가능한 벽일 가능성이 높은 경우

  • 벽 두께가 얇고, 문틀이 있음
  • 욕실, 다용도실, 팬트리 등 사이 공간
  • 손으로 두드리면 텅텅거리는 경량 벽

철거 금지 벽일 가능성이 높은 경우

  • 외벽과 맞닿아 있거나, 양쪽으로 연결된 벽
  • 거실, 방 사이의 중심 벽
  • 구조 도면상 ‘벽체 구조’로 표기된 위치
  • 벽 두께가 15cm 이상 + 철근 콘크리트 느낌

가장 확실한 방법은 시공 전 구조도면을 확인하고 전문가 현장 실측을 반드시 선행해야 합니다.

 

내력벽 철거하고 싶을 땐? – 대안은 '보강구조'

최근에는 기술적으로도 많은 발전이 있어서 ‘내력벽은 무조건 못 건드려!’라는 고정관념은 조금씩 바뀌는 중입니다.

예를 들어, 내력벽을 철거하고 철제 빔을 덧대는 방식으로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공간을 확장하는 시공이 등장하고 있어요.

다만 이 경우도 반드시 구조안전진단 + 시 구조변경 허가 절차를 거쳐야 하며 비용도 일반 철거보다 3~5배가량 높습니다.

 

실제 사례: 철거 후 문제 생긴 사례

  • 수도권 15평형대 아파트: 욕실·거실 벽 철거 후 위층 바닥 꺼짐
  • 강남구 30년 차 아파트: 내력벽 철거로 2세대 동일 라인 전체 금 발생
  • 부천시 한 아파트: 리모델링 후 누수+곰팡이 발생 → 원인은 철거한 내력벽 뒤 습기 노출

 

벽 하나가 우리 집 안전을 결정합니다

인테리어에서 ‘벽 하나쯤 허물면 뭐 어때?’라는 생각으로 절대 쉽게 넘기면 안 됩니다.

조적벽은 구조와 무관하더라도 전기선, 배관, 환풍 덕트 등 각종 설비가 숨어 있기 때문에 전문가의 해체 계획과 실측이 선행되어야 하며 내력벽은 말 그대로 우리 집을 지탱하는 뼈대입니다.
단순히 넓은 공간이 아니라 안전하고 오래도록 쓸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진짜 인테리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