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리어 할 때, 시스템에어컨 설치할까? 말까?
무더위가 시작되면 가장 많이 검색되는 가전이 바로 에어컨입니다.
그중에서도 최근 몇 년 사이, 신축 아파트나 리모델링 현장에서 자주 설치되는 시스템에어컨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이런 고민을 하죠.
“시스템에어컨, 진짜 설치할만할까?”
“비싸다던데, 설치 후 만족도는?”
“브랜드별 가격 차이는 얼마나 날까?”
이 글에서는 시스템에어컨의 구조와 특징, 설치 전 꼭 알아야 할 장단점 그리고 대표 브랜드별 가격 비교까지 상세하게 알려드릴게요.
시스템에어컨이란?
시스템에어컨은 일반 벽걸이형, 스탠드형 에어컨과 달리 실외기 하나로 여러 개의 실내기를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주로 천장 속에 매립 설치되며 공간을 깔끔하게 활용할 수 있어 인테리어 완성도가 높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줍니다.
시스템에어컨의 장점
1. 공간 활용도가 뛰어나다
천장 속에 매립되기 때문에 실내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20~30평대 아파트에서는 거실 벽이나 침실 벽이 비좁을 수 있는데 시스템에어컨은 이런 구조에서도 공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죠.
2. 실외기가 하나로 통합
에어컨을 여러 대 설치해도 실외기는 한 대만 설치하면 되므로 베란다나 실외기실 공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3. 미관상 깔끔함
천장형 매립 설치는 외관이 깔끔하고 내부 인테리어와도 잘 어우러지기 때문에 최근 고급 아파트에서 많이 채택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4. 개별 실별 온도 조절 가능
모든 실내기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각 방마다 원하는 온도로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에어컨의 단점
1. 설치 비용이 비싸다
가장 큰 단점은 초기 설치 비용입니다.
기존 에어컨보다 2배 이상 높은 견적이 나오는 경우도 흔합니다.
2. 시공 복잡도 높음
배관 설치, 천장 마감, 실외기 배치 등 정확한 설계와 전문 시공이 필요합니다.
시공 후에는 구조 변경이 어렵기 때문에 신중한 결정이 필요합니다.
3. 고장 시 유지보수 어려움
천장에 매립되어 있기 때문에 고장이 날 경우 천장 도배를 모두 뜯고 석고 보드까지 교체해야 할 수 있으므로 수리 접근성이 낮아 수리비와 시간 부담이 클 수 있습니다.
4. 누수 발생 우려가 있음
매립된 배관의 경우 누수가 발생 시 조기에 발견하기 어려우며 배관의 높낮이가 적절하게 조절되지 않았다면 배관 막힘으로 인해 역류나 누수가 발생될 우려가 있습니다.
시스템에어컨 브랜드별 가격 비교
(※ 20~30평대 아파트 기준, 거실 1대 + 방 2대 총 3대 구성 기준)
브랜드 모델명 | 예시 평균 | 설치가 | 특징 |
LG 휘센 | MULTI V, 시스템에어컨 FX | 약 350~450만 원 | 인버터 효율 우수, 디자인 깔끔, AS 서비스 신뢰 |
삼성 무풍 | 무풍 시스템에어컨 DVM S | 약 370~470만 원 | 무풍 기능, 미세먼지 필터링, 프리미엄 이미지 |
캐리어 | Super Multi | 약 300~400만 원 | 가성비 좋고 AS 접근성 양호 |
하이센스/위니아 | 시스템형 Multi | 약 280~350만 원 | 중소 브랜드 중 합리적인 가격대 |
다이킨 | SkyAir 시스템 | 약 400~500만 원 | 상업공간에 특화, 내구성 강함 |
시스템에어컨, 이런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싶은 신혼부부
천장 몰딩이나 간접조명을 함께 시공하려는 리모델링 수요자
베란다에 실외기 공간이 부족한 구조의 아파트
각 방마다 개별 냉방이 필요한 경우 (아이방 + 부부방 등)
미니멀 인테리어, 호텔 느낌을 추구하는 사용자
설치는 ‘타이밍’과 ‘전문성’이 핵심
시스템에어컨은 무조건 설치가 좋다 or 나쁘다의 문제가 아닙니다.
주거 구조, 생활 패턴, 예산, 인테리어 방향성을 고려해 꼼꼼하게 비교하고 전문 업체와 상담 후 결정하는 게 가장 현명합니다.
특히 리모델링이나 입주 전 공사 단계라면 지금이 설치 타이밍의 골든타임입니다.